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357)
10-4. 소말리아 : IMF 권고, 모가디슈 전투 이전까지 냉전이 소말리아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봤고, 이제 IMF와 세계은행이 어떤 결정타를 줬는지 볼거임 IMF권고 미국의 지원을 받은 바레는 IMF와 세계은행의 권고를 받아들여 경제 자유화 단행 근본적으로 미국이나 오스트레일리아의 육류와 경쟁하는 것에 한계 1981년 IMF의 소말리아 실링화의 평가 절하 이후 연료비, 비료 값, 사료 값, 가축용 수입의약품 값 등 농업 및 목축 생산비가 증가, 도시의 구매력도 감소 목축업자의 감소는 가축용 사료를 재배하던 곡물 생산업자에게 영향을 미쳐 농촌과 목축 경제의 전반적인 구조 붕괴 자유무역에 의해 미국산 값싼 곡물과 외국의 식량 원조로 농촌 빈곤 가속화, 농촌 붕괴 바레 정부, 미국으로부터 1985년부터 약 3년 동안 연간 평균 5천만 달러의 군사 원조를..
10-3. 소말리아 : 해적, 오가덴 전쟁 냉전 이후 IMF의 조언이 맞물리면서 소말리아의 국가 파탄이라는 비극을 몰고 온 이야기를 할 거임 캡틴 필립스라는 영화가 2013년에 개봉함 캡틴 필립스는 2009년에 실제로 소말리아 해적에게 납치된 선장 필립스의 실제 납치 과정을 그림 앨라배바호는 아라비아 반도의 오만에서 출항해서 아덴만을 거쳐서 인도양의 소말리아 바다를 지나서 케냐 뭄바사항 뭄바사항은 컨테이너를 하적할 수 있는 곳임 아프리카 원조 물품이나 수출물품이 갈 때 대부분 뭄바사항을 이용함 엘라베바호도 원조물품을 싣고 케냐 뭄바사 항을 가고 있었음 아덴만을 지나면서 인도양 소말리아 바다를 지나고 필립스는 소말리아 해적 네명에게 납치를 당함 미해군과 NAVY SEAL이 첨단 군장비를 동원해서 소말리아 해적 대장을 체포하고 나머지 세명을 사살하는..
10-2. 르완다 : IMF,월드뱅크, 후투와 투치의 내전 르완다 독립 이후, 1994년 내전에 시달리기 전에 르완다의 정치 상황을 먼저 볼거임 독립 후에도 후투족이 지배하고 1973년에 하비아리마나 라는 대통령이 쿠데타로 취임함 아프리카의 국가라는 시스템은 독립 이후에 만들어지고, 식민지배 경험때문에 항상 대통령이 쿠데타로 되는 경우가 많음 1973년부터 살펴보면 이 대통령 취임 후에 투치족에 대한 정책이 많이 변화함 하비야리마나는 후투족 출신인데 15년 동안 평화로운 공존 정책을 시행함. 보건, 환경, 경제 지표를 모두 향상시킴. 1989년에 르완다는 커피가 중요한 수출상품이었음. 당시 이런 기호 식품인 커피와 홍차 가격이 폭락함 전 세계적으로 경제 불황이었고, 커피와 홍차 소비를 줄여서 가격이 떨어짐 경제 사정이 너무 안 조항지니까 월드뱅크에 돈을 빌리려고..
10-1. 르완다 : 벨기에 식민지배, 독립 브레튼우즈 시스템 하에서 새로운 세계 경제 질서가 만들어지면서 IMF와 IBRD가 탄생함 1970년, 1980년을 거치며 성격이 바뀌는 과정도 있었음 IMF와 세계은행이 빈곤국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볼거임 르완다와 소말리아는 세계 최빈국으로 알려져있음 IMF나 세계은행이 이 나라의 경제 성장에 대해 어떻게 영향을 끼쳤고, 소말리아는 국가 파탄까지 가는 것을 살펴볼 것 르완다 르완다는 우리나라 경상도 수준의 작은 아프리카의 동부지역에 있는 나라임 이 나라 위에 우간다, 옆에는 브룬디, 콩고민주공화국이 이웃나라임 콩고민주공화국의 오른쪽, 동쪽에 있는 나라임 콩고민주공화국에 적도가 지나갔음. 르완다도 적도와 가까워서 덥고 습한 기후임 르완다나 브룬디, 우간다는 아프리카 나라중 가장 쾌적한 환경을 갖고 있..
9-4. IMF, 국제부흥개발은행(세계은행)의 역할 케인즈의 생각에 의해서 국제 기구가 발전했는데 IMF와 세계은행IBRD(국제부흥개발은행)의 역할을 자세히 알아볼 거임 IMF IMF는 1946년에 발족하고 당시 가입국이 39개국이었는데, 지금은 188개국임 IMF 가입하면 동시에 세계은행을 가입해야함. 그래서 세계은행 가입국도 188개임 가맹국들이 출연금을 내고 가입함 출연금은 내고자 하는 돈의 25%는 금, 75%는 자국 화폐를 달러로 환산한 돈임 이 출연금이 대출한도임 IMF로부터 돈을 빌리면 SDR을 빌림, SDR은 special drawing rights 특별인출권임 회원국은 경제가 어려워지면 본인들이 출연했던 출자액에 비례해서 SDR을 배분받아서 사용함 이 외화 부족 국가가 다른 나라한테 SDR을 주고, 그 나라가 가진 달러나 유로나 파운드나 ..
9-3.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국제통화 제도의 변화 snnchallenge.tistory.com/276 9-2. 브레튼우즈 협정 (배경, 과정, 내용) 1944년 제 2차 세계대전이 끝나갈 무렵 여름에 미국의 브레튼우즈 리조트에 44개국 대표가 모여서 새로운 경제시스템 틀을 수립함 44개국 관료가 모였지만, 여기서 틀을 짠건 미국과 영국 중심임 snnchallenge.tistory.com 브레튼우즈 시스템에서 달러를 중심으로 한 국제 거래, 고정 환율제도 1온스 당 35달러로 고정환율 제도였음 기축통화가 된다는 것은 전 세계 어느 나라에 가도 달러가 있어야 한다는 말임 전 세계에 달러가 공급되어야 함. 너무 많이 공급되어 있으면, 전부 금으로 바꿔줄 수 있다는 신뢰도가 떨어짐 금을 갖고 있는 것만큼 지폐를 발행하면 전 세계 곳곳 달러가 이동할 수 없음 1..
9-2. 브레튼우즈 협정 (배경, 과정, 내용) 1944년 제 2차 세계대전이 끝나갈 무렵 여름에 미국의 브레튼우즈 리조트에 44개국 대표가 모여서 새로운 경제시스템 틀을 수립함 44개국 관료가 모였지만, 여기서 틀을 짠건 미국과 영국 중심임 영국은 그 전 100년 간 세계 경제 중심이었던 나라고, 미국은 당시 돈을 가장 많이 가진 나라였음 나머지 42개국은 들러리 섬 이 때 영국 대표는 존 메이어스 케인즈, 미국대표는 당시 재무부 차관 해리 덱스터 화이트임 케인즈는 캠브리지 출신이고 그 당시 말 한마디 한마디가 전 세계가 주목했던 가장 대표적인 경제학자임 화이트는 서프라이즈에 되게 많이 나온 인물임. 나중에 소련 간첩이었다고 밝혀진 인물임. 이들이 3주간 논의를 해서 IMF와 세계은행 시스템을 만듦 이렇게 3주만에 만들어진 시스템이 공고하게 30년동..
9-1. 양차 세계대전과 금본위제 1800년대 초반부터 제 1차세계대전까지 세계 경제는 영국의 파운드화를 중심으로 이루어짐 제 1차, 2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파운드화 중심의 경제가 위기를맞음 제 2차 세계대전이후 브레튼우즈 회의 결과 미국 중심의 세계 경제 시스템이 만들어짐 본위화폐 standard money 물건이 수출입 되는 흐름을 교역, 무역이라하고, 물건과 동시에 돈의 흐름이 있는데, 국가 간 돈의 흐름을 국제통화라고 함 이 국제통화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통화에 대한 신뢰성임 국가 간 물건을 사고 팔 때, 화폐로서 가장 신뢰할 수 있는건 금이라고 생각해서 금을 본위화폐로 사용함, 본위화폐는 국가와 국가 간 물건의 가격 측정 기준이 됨 가치 척도의 기능을 하는 한 국가 화폐 제도의 기초가 되는 화폐임 보통 많은 나라에서 금이나 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