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357) 썸네일형 리스트형 2-4. 절대우위와 비교우위 교역이 당사국 모두에게 이익이라는 무역을 옹호하는 사람들의 근거 절대우위 서구의 고전 경제학자들도 월러스틴과 마찬가지로 교역이 부를 창출하는 근간이라고 주장 월러스틴과는 다르게 고전경제학자들은 교역이 당사국 모두에게 이익이라고하며 주변부 중심부와 다르게 해석 고전 경제학자인 애덤스미스의 절대우위 18세기 경제학자들은 왜 각자 나라들이 무역을 하는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함 국제적인 분업을 통해서 무역을 하면 더 부유해질 수 있기 때문이라고 답을 냄 나라마다 갖는 자원과 기후아 인구규모도 다르기 때문에 각자 최대한 적은 비용으로 만들 수 있는 상품을 만들어 교환 스미스 스코트랜드 학자 스미스는 프랑스를 좋아하지 않았음 영국과 프랑스가 교역을 하는게 좋다고 말한적 이있음 "우리는 프랑스를 좋아하지 않아. .. 2-3. 세계체제론 관점 세계체제론 관점은 부유한 국가하고 빈곤한 국가 간 격차가 수렴되기는 커녕 더욱 증가할 거라고 주장 성장이론가들의 낙관적인 이론과 달리 현실세계에서 부유한 나라의 자본과 기술이 빈곤한 나라로 이동하는 경우가 없음 성장이론가들이 말한 독일, 일본, 우리나라를 제외하고 빈곤한 나라가 부유해진 경우를 찾기 어려움 가난한 국가가 부유한 국가에 비해 빠르게 성장하는 수렴 현상이 발생하지 않았음 부유한 국가와 빈곤한 국가 간의 격차를 점점 확대된다는 것을 월러스틴의 세계체제론에서 이유를 찾을 거임 따라잡기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이유에 대해 성장이론가들은 빈곤한 나라 정부가 신속하고 충분한 경제 개방을 하지 않고 무능하고 부패했기 때문이라고 함 해외에서 기술이나 자본이 들어와도 이를 제대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 2-2. 성장이론 성장이론은 부유한 국가와 빈곤한 국가의 격차가 줄어들 수 있다고 주장함 부유한 나라 사람들은 보통 가난한 나라의 가난한 이유에 대해 게으르거나 교육, 기후, 창의력 부족, 부패한 정권, 지속되는 내전이 가난의 원인으로 말함 그런데 대분기가 시작된 1800년대 이후 세계 경제에 실제로 무슨일이 일어났는가가 중요함 산업혁명이 일어나고 100년이 지난 1900년에도 빈곤했던 지역은 유럽의 식민지배를 받았던 아시아와 아프리카임 영국과 유럽 국가들이 고속 성장하는 동안 나머지 국가들은 왜 성장하지 못하고 비참하게 살았을까 원인을 무엇으로 보느냐에 따라 빈곤한 나라와 부유한 나라의 격차가 좁혀질 수 있는지 없는지 성장이론 현재 가난한 나라들도 장기적으로 보면 미국, 영국, 독일처럼 부유한 나라로 발전할 수 있다고 .. 2-1. 부유한 나라와 빈곤한 나라, 대분기 1800년대 이후 세계는 놀랄만큼 부유해졌고, 어떤 지역은 그 부유한 번영의 수혜를 입지 못하고 여전히 빈곤함 이런 국가 간 소득 불평등이 점점 심해지고 있고. 한 사회 안에서도 불평등이 매우 심해지고 있음 국제 보호 기구인 옥스팜의 보고서에 따르면 겨우 여덟명이 전 세계 하위 50%와 동등한 부를 소유한다고 함 2015년 이래로는 전 세계 1%가 나머지 전체 인구보다 더 많은 부를 소유한다고 함 우리가 어느정도로 빈곤해야지 빈곤하다고 이야기할 수 있는지 재는 기준이 필요 이를 빈곤선이라고 함 빈곤선 빈곤선이라는 것은 사람들이 최저한의 생계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임금 수준임 개발도상국이랑 선진국 물가가 달라서 빈곤선 기준이 당연히 다를 수 밖에 없음 개발도상국 빈곤선은 하루 임금이 1.25달러 이하, 우리.. 1-5. 선진국과 최빈국 선진국 세계를 경제 수준에 의해 구분 경제 수준에 의해 선진국과 최빈국이라는 구분으로 살펴볼 것 UN은 국가들을 분류하기 위해서 무역개발회의가 선진국 분류표를 마련하여 리스트를 작성 UN 무역개발회의가 제시한 선진국은 미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EU 국가, 스위스, 노르웨이, 아이슬란드, 일본 등 그 외의 나머지 국가는 개발도상국이라고 함. 개발도상국 개발도상국은 상대적으로 경제의 상당부분이 아직 낙후되어 있고, 국민의 다수가 매우 빈곤한 상태에 처해있는 국가임 개발도상국은 1인당 국민 총생산량은 개발도상국 내에서도 편차가 있음 GATT 및 WTO 협정에서 개발도상국에 대한 정의는 하지 않음 self selection을 함 그리고 UN 무역개발회의(UNCTAD)에서 77개국이 모여서 개발도상국이라.. 1-4. 대륙의 경계, 특징 대륙의 경계 우랄산맥을 기준으로 우랄산맥 동쪽은 아시아, 서쪽은 유럽 터키에 보스포루스 해협이 지나가는데 그 해협을 기준으로 서쪽은 유럽 동쪽은 아시아 아시아하고 아프리카를 나누는 데는 홍해를 기준으로 함 홍해 동쪽에 아라비아 반도가 있는데 거기는 아시아, 홍해 서쪽은 아프리카 대륙임 아메리카 대륙은 지질구조를 중심으로 나누면 북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로 나눔 파나마 지협을 기준으로 나눔 아시아 아시아 안에서도 굉장히 다양한 지역으로 나뉨, 대륙의 경계는 절대적인 기준이 아님 아시아 대륙은 세계에서 가장 넓은 대륙이고 가장 인구가 많음 아시아라는 거대한 대륙을 관통하는 하나의 정체성은 없음 아시아는 동부, 남부, 동남, 서남, 중앙 아시아로 세분화되고 48개국이 있음 우리나라가 속한 동부아시아는 세계에서 인.. 1-3. 대륙명의 기원 아시아 헤로도투스의 '역사'에 의하면 기원전 440년경 그리스에 대비되는 지역을 의미 이란(페르시아 제국)을 가리키거나 소아시아라고하는 터키령의 아나톨리아 지방을 통틀어 아시아라고 부르기도 함 중국이나 한국을 포함하는 말은 아니었음 아나톨리아 지역은 문명이 시작된 곳, 농업이 가장 먼저 이루어진 지역임 아나톨리아 지역에서 농업이 이루어지고, 그게 유럽과 중국 쪽 아시아까지 전부 전파됨 이 지역을 가리켜서 소아시아라고 헤로도토스가 '역사'라는 책에서 말함 아프리카 지금보다는 협소한 지역을 의미함 지중해의 남쪽, 북부 아프리카의 지중해 연안지역에 있는 지역을 아프리카라고 함 현재 튀니지 지역을 아프리카라고 함 로마인들이 이 지역 사람들을 afri라고 부름 이 사람들과 세 차례 포에니 전쟁을 함, 두번째 포에.. 1-2. 판게아, 판구조론 독일의 유명한 지리학자 홈볼트가 퍼즐처럼 지도를 맞춰봄 남아메리카에 답사를 갔는데 아프리카 서쪽하고 식생과 지질구조가 유사하다는 것을 발견 1912년에 독일의 기상학자 알프레도 베게너가 2억 5천년 전에는 지구의 육지가 한 덩어리일 거라고 주장 판게아라는 이름을 붙임, 넓은 초대륙을 의미 과거에는 육지가 하나의 덩어리인 판게아 였을 것, 대륙이동설을 주장 판게아 주변에 거대한 대항이 둘러싸는데 이를 판타라사대양이라고 부름 육지로 둘러싸인 안쪽에 테트스라는 바다가 발달해있고 이는 지금의 지중해임 쥬라기 공원으로 알고 있는 중생대 때부터 이동했을 거라고 주장 그럴 듯하지만 어떤 힘이 이동 시켰는지에 대해 이야기 하지 못함 베게너는 해답을 찾기 위해 그린란드로 탐사를 떠나고 결국 답을 찾지 못하고 1930년에.. 이전 1 ··· 21 22 23 24 25 26 27 ··· 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