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UDP

(3)
14. Connectionless transport : UDP UDP : user datagram protocol - RFC768에 잘 정의되어 있음 그냥 순수한 주소만 보고 전달하는 프로토콜 이름은 멋지지만 무책임함 best effort 중간에 패킷 손실 손상우려 있음 잃어버린 건 어쩔 수 없지만 순서가 뒤바껴서 오면 문제가 됨 순서를 재조합해야하거나 버려야하는데 application layer에서 처리하는 게 큰 부담이 될 수 있음 udp 는 주로 데이터 손실이 조금 있어도 되는 스트리밍 어플에서 많이 사용 DNS관련 데이터 베이스 업데이트 할때도 사용함 - 인터넷에 큰 무리가 안돼서 그렇다고 함 SNMP는 몇개의 패킷이 네트워크에 오갔는지 모니터링 하는 건데 udp 사용함 udp의 속도는 즐기고 싶지만 reliable하게 하고 싶으면 application la..
6. 어플리케이션 레이어 : 클라이언트-서버, P2P * 인터넷을 사용하는 모든 어플리케이션 이메일, 웹, text messaging, remote login, p2p file sharing, game, video streaming, voice over ip, 등 *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프로그램 작성 방법 - 사용하는 디바이스에서 카톡, 크롬, 네이버 등 다른 누군가와 통신할 때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데 이 때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프로그램 작성 방법 : end system, p2p, client-server 등의 상황에서의 각 end system에서 프로그램을 구현하고 소켓만 구현하면 통신 가능 어플리케이션 레이어에서는 end에서 client-server, p2p 등 어떤 구조를 할지 결정 트랜스포트 레이어에서 어떻게 메세지를 사용해서 전달할 건지 (t..
실습 2-1. 소켓의 프로토콜과 특성 *프로토콜 이란 - 개념적으로 약속의 의미 - 컴퓨터 상호간의 데이터 송수신에 필요한 통규약 - 소켓을 생성할 때 기본적인 프로토콜을 지정해야함 #include int socket(int domain, int type, int protocol); domain : 소켓이 사용할 프로토콜 체계 정보 전달 type : 소켓의 데이터 전송방식에 대한 정보 전달 protocol : 두 컴퓨터간 통신에 사용되는 프로토콜 정보 전달 매개변수가 모두 프로토콜 정보와 관련이 있다 * 프로토콜 체계 - 프로토콜도 그 종류에 따라서 부류가 나뉘는데, 그 부류를 가리켜 프로토콜 체계라 한다. - 프로토콜의 체계 PF_INET은 IPv4인터넷 프로토콜 체계를 의미 - 소켓함수 매개변수 중 첫번째 파라미터 PF_INET IPv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