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구현

(2)
[2020 정보처리기사 실기 - 통합 구현] 2. 연계 메커니즘 구성하기 *연계 메커니즘 정의 1) 연계 메커니즘 구성 요소 - 연계 메커니즘 송신 시스템과 수신 시스템으로 구성 송신 시스템은 운영 데이터베이스,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연계데이터를 인터페이스테이블 또는 파일로 생성하여 송신 수신시스템은 송신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변환 등 처리 후 운영 DB에 반영 송수신 시스템 사이에 데이터 송수신 현황에 대해 모니터링 역할을 하는 중계 서버 배치하여 운영할 수 있음 송신시스템, 중계서버, 수신시스템의 각 역할이 중복되지 않도록 조정, 아키텍처 설계 후 인터페이스 테스트와 통합 테스트 중계서버 배치 의사결정 포인트 : 보안 품질 특성이 중요하거나 송수신시스템이 위치한 네트워크가 상이한 경우 - 연계 방식 간접 연계 방식의 송신 시스템은 송신 로그 모니터링 모듈과 송수신 엔..
[2020 정보처리기사 실기 - 통합 구현] 1. 연계 데이터 구성하기 1) 연계 요구사항 분석 - 연계 데이터를 정의 - 성능, 보안, 데이터 발생 패턴 등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 및 정의 - 연계 요구사항 분석 관련 문서 시스템 구성도 : HW NW SW 등 연계 대상 시스템 응용애플리케이션 구성 : 애플리케이션의 메뉴구성, 화면 설계, 데이터 발생 시점, 주기, 발생패턴 테이블 정의서 : 데이터 모델링 정의서, 테이블/ 프로세스 연관도, 테이블별 컬럼 속성 정의서 코드정의서 : 공통 코드 정의서 - 분석 및 정의 기법/도구 : 인터뷰, 체크리스트, 설문지, 델파이 조사, 연계 솔루션 비교 2) 통합 구현의 개념도 - 시스템 아키텍처 구성, 송수신 방식, 송수신 모듈 구현 방법 등에따라 환경과 사용자 요구사항에 적합한 통합구현방법 설계 직접 연계 : DB link, DB ..